https://www.acmicpc.net/problem/7576

 

7576번: 토마토

첫 줄에는 상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정수 M,N이 주어진다. M은 상자의 가로 칸의 수, N은 상자의 세로 칸의 수를 나타낸다. 단, 2 ≤ M,N ≤ 1,000 이다. 둘째 줄부터는 하나의 상자에 저장된 토마토

www.acmicpc.net


기존에 BFS를 돌렸던 방식과 다르게 BFS를 돌릴 Queue 를 static 으로 선언해서

처음부터 익은 토마토가 있으면 순차적으로 Queue 에 넣어서 BFS를 돌리면 해결되는 문제였다.

또한, 전체 토마토가 익지 않은 경우를 생각하기 위해 BFS가 모두 돌았을 때 익지 않은 토마토 (0인 값)이 있으면

-1을 출력하였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M, N;
	static int map[][];
	static int dy[] = { 1, 0, -1, 0 };
	static int dx[] = { 0, 1, 0, -1 };
	static int cnt1 = 0, cnt2 = 0, day = 0;
	static Queue<int[]> qu = new LinkedList<in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gr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가로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세로

		map = new int[N + 1][M + 1];

		for (int i = 1;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j = 1; j <= M; j++) {
				map[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f (map[i][j] == 1)
					qu.add(new int[] { i, j });
				else if (map[i][j] == -1)
					cnt1++;
			}
		}

		BFS();

		Loop1: for (int i = 1; i <= N; i++) {
			for (int j = 1; j <= M; j++) {
				day = Math.max(day, map[i][j]);

				if (map[i][j] == 0) {
					day = -1;
					break Loop1;
				}
			}
		}
		if (day != -1)
			System.out.println(day - 1);
		else
			System.out.println(day);
	}

	static void BFS() {

		while (!qu.isEmpty()) {
			int curY = qu.peek()[0];
			int curX = qu.peek()[1];

			qu.poll();

			for (int i = 0; i < 4; i++) {
				int ny = curY + dy[i];
				int nx = curX + dx[i];

				if (ny <= 0 || nx <= 0 || ny > N || nx > M)
					continue;

				if (map[ny][nx] != 0)
					continue;

				qu.add(new int[] { ny, nx });

				map[ny][nx] = map[curY][curX] + 1;

			}
		}

	}
}

https://www.acmicpc.net/problem/2606

 

2606번: 바이러스

첫째 줄에는 컴퓨터의 수가 주어진다. 컴퓨터의 수는 100 이하이고 각 컴퓨터에는 1번 부터 차례대로 번호가 매겨진다. 둘째 줄에는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쌍의 수가 주어

www.acmicpc.net


간단한 DFS로 해결할수 있는 문제지만 ArrayList 와 Array 두가지 방법을 사용했을 때를 비교하고

두개 다 구현하는 방법을 연습하는 문제로 활용하였다.


Array로 구현한 DF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M, V;
	static int map[][];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cnt =0;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gr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int[N + 1][N + 1];
		visited = new boolean[N + 1];

		for (int i = 0; i < M;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y][x] = 1;
			map[x][y] = 1;
		}

//		DFS(1);
//
//		Arrays.fill(visited, false);
//		System.out.println();
		
		BFS(1);
		System.out.println(cnt);
	}

	static void DFS(int i) {
		visited[i] = true;
		System.out.print(i + " ");

		for (int j = 1; j < N; j++) {

			if (map[i][j] == 1 && visited[j] == false) {
				visited[j] = true;
				DFS(j);
			}
		}
	}

	static void BFS(int i) {
		Queue<Integer> q = new LinkedList<Integer>();

		q.offer(i);
		visited[i] = true;

		while (!q.isEmpty()) {

			int temp = q.poll();
//			System.out.print(temp + " ");

			for (int j = 1; j <= N; j++) {

				if (map[temp][j] == 1 && visited[j] == false) {
					cnt ++;
					visited[j] = true;
					q.offer(j);
				}
			}
		}
	}
}

ArrayList 로 구현한 DF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ArrayList<ArrayList<Integer>> al = new ArrayList<>();
	static int N, M;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cnt =0;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gr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 = Integer.parseInt(br.readLine());

		Visited = new boolean[N + 1];

		Arrays.fill(Visited, false);
		for (int i = 0; i <= N; i++) {
			al.add(new ArrayList<Integer>());
		}

		for (int i = 0; i < M;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l.get(x).add(y);
			al.get(y).add(x);
		}

		DFS(1);
		
		System.out.println(cnt-1);
	}

	static void DFS(int V) {
		Visited[V] = true;

		cnt ++;
		for (int i = 0; i < al.get(V).size(); i++) {
			int temp = al.get(V).get(i);

			if (!Visited[temp]) {
				DFS(temp);
			}
		}
	}
}

 


Map 의 기본 개념만 알면 풀수 있는 간단한 문제였다.

오름차순으로 sort_arr 정렬에 재 배치하고

각 정렬된 해당 값을 키값으로 저장한뒤 순서를 value 값으로 Map 에 저장하여

해당 key값에 저장된 value를 가져오는 방법

But,,,, StringBuilder를 쓰지 않을땐 시간초과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gr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HashMap<Integer, Integer> hm = new HashMap<Integer, Integer>();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rr = new int[N];
		int[] sort_arr = new int[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i = 0; i < N; i++) {
			arr[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ort_arr[i] = arr[i];
		}

		Arrays.sort(sort_arr);

		int n = 0;
		for (int i = 0; i < N; i++) {
			if (!hm.containsKey(sort_arr[i])) {
				hm.put(sort_arr[i], n);
				n++;
			}
		}

		for (int i = 0; i < N; i++) {
			sb.append(hm.get(arr[i]) + " ");
		}
		
		System.out.println(sb);
	}
}

https://www.acmicpc.net/problem/18870

 

18870번: 좌표 압축

수직선 위에 N개의 좌표 X1, X2, ..., XN이 있다. 이 좌표에 좌표 압축을 적용하려고 한다. Xi를 좌표 압축한 결과 X'i의 값은 Xi > Xj를 만족하는 서로 다른 좌표의 개수와 같아야 한다. X1, X2, ..., XN에 좌

www.acmicpc.net

 

 


이전문제와 비슷한 문제

익명함수의 개념만 알면 어렵지 않은 문제였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mparato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gr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 arr = new String[N][100];

		for (int i = 0; i < N;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arr[i][0] = st.nextToken();
			arr[i][1] = st.nextToken();
		}

		Arrays.sort(arr, new Comparator<String[]>() {

			@Override
			public int compare(String[] o1, String[] o2) {
				return Integer.parseInt(o1[0]) - Integer.parseInt(o2[0]);
			}

		});

		for (int i = 0; i < N; i++) {
			System.out.println(arr[i][0] + " " + arr[i][1]);
		}

	}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14

 

10814번: 나이순 정렬

온라인 저지에 가입한 사람들의 나이와 이름이 가입한 순서대로 주어진다. 이때, 회원들을 나이가 증가하는 순으로, 나이가 같으면 먼저 가입한 사람이 앞에 오는 순서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www.acmicpc.net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0

 

11650번: 좌표 정렬하기

첫째 줄에 점의 개수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i번점의 위치 xi와 yi가 주어진다. (-100,000 ≤ xi, yi ≤ 100,000) 좌표는 항상 정수이고, 위치가 같은 두 점은 없다.

www.acmicpc.net


 

문제 로직은 굉장히 단순했지만

람다식에 대한 개념?이 기억이 잘안나서 오래 걸렸던 문제였다.

나중에 다시 공부해야겠다

참고 블로그

https://mangkyu.tistory.com/113

 

[Java] 람다식(Lambda Expression)과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 - (2/5)

1. 람다식(Lambda Expression) 이란? Stream 연산들은 매개변수로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를 받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람다식은 반환값으로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반환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

mangkyu.tistory.com

https://st-lab.tistory.com/243

 

자바 [JAVA] - Comparable 과 Comparator의 이해

아마 이 글을 찾아 오신 분들 대개는 Comparable과 Comparator의 차이가 무엇인지 모르거나 궁금해서 찾아오셨을 것이다. 사실 알고보면 두 개는 그렇게 어렵지 않으나 아무래도 자바를 학습하면서 객

st-lab.tistory.com

https://mangkyu.tistory.com/113

 

[Java] 람다식(Lambda Expression)과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 - (2/5)

1. 람다식(Lambda Expression) 이란? Stream 연산들은 매개변수로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를 받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람다식은 반환값으로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반환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

mangkyu.tistory.com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rr = new int[N][2];

		for (int i = 0;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arr[i][0]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i][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Arrays.sort(arr, (o1, o2) -> {
			if (o1[0] == o2[0]) {
				return o1[1] - o2[1];
			} else {
				return o1[0] - o2[0];
			}
		});

		for (int i = 0; i < N; i++) {
			System.out.println(arr[i][0] + " " + arr[i][1]);
		}

	}

}

https://www.acmicpc.net/problem/2089

 

2089번: -2진수

-2진법은 부호 없는 2진수로 표현이 된다. 2진법에서는 20, 21, 22, 23이 표현 되지만 -2진법에서는 (-2)0 = 1, (-2)1 = -2, (-2)2 = 4, (-2)3 = -8을 표현한다. 10진수로 1부터 표현하자면 1, 110, 111, 100, 101, 11010, 110

www.acmicpc.net

 


단순한게 최고라는 생각에 일반적인 2진법으로 나누었을때랑 같은 방법으로 -2를 나누어보았다.

예를들어

-13 / -2 = 6.5 -> 올림 7 (나머지 1)

7 / -2 = -3.5 -> 올림 -3 (나머지 1)

-3 / -2 = 1.5 -> 올림 2 (나머지 1)

2 / -2 = -1 -> -1 (나머지 0)

-1 / -2 = 0.5 -> 1 (나머지 1)

1. 마지막 몫이 1일때까지 반복되야 함.

2. 나머지는 항상 양수

3. 음수에서 계산이 되기때문에 소수점에서 올림 (ceil)

4. 마지막 1일때 몫을 따로 append 해주고 순서를 reverse 해야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코드를 구현하였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Buffer sb = new StringBuffer();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f (N == 0) {
			System.out.println(0);
		} else {
			while (N != 1) {

				sb.append(Math.abs(N % -2));
				N = (int) Math.ceil((double) N / (-2));

			}

			sb.append(N);

			sb.reverse();
			System.out.println(sb);
		}

	}
}

StringTokenizer 클래스란?

BufferedReader 클래스의 메서드로 입력을 읽어들이면, 라인 단위로 읽어들일 수밖에 없어요.

거기서 머 스페이스 기준으로 문자열을 분리한다던가 필요할때가 많겠죠?

 

BufferedReader 클래스가 아니더라도, 컴마로 구분되는 문자열들을 분리한다던가, 

특정 문자에 따라 문자열을 나누고 싶을 때에 StringTokenizer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ring : 문자열을

Tokenizer : 토큰화한다.

즉 토큰은 분리된 문자열 조각으로, 스트링토크나이저 클래스는 하나의 문자열을 여러 개의 토큰으로 분리하는 클래스인거죠.

 

StringTokenizer 생성자

StringTokenizer를 생성하는 방식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생성자 설명
public StringTokenizer(String str); 절달된 매개변수 str을 기본(default) delim으로 분리합니다. 기본 delimiter는 공백 문자들인 " \t\n\r\t"입니다. 
public StringTokenizer(String str,String delim); 특정 delim으로 문자열을 분리합니다.
public StringTokenizer(String str,String delim,boolean returnDelims); str을 특정 delim으로 분리시키는데 그 delim까지 token으로 포함할지를 결정합니다. 그 매개변수가 returnDelims로 true일시 포함, false일땐 포함하지 않습니다.

StringTokenizer 메서드

앞에서 nextToken() 이용해 토큰값을 가져올 수 있다는 건 대충 알았어요.

이 외에 이 클래스에서 지원하는 메서드들은 뭐가 있을까요?

리턴값 메서드명 역할
boolean hasMoreTokens() 남아있는 토큰이 있으면 true를 리턴, 더 이상 토큰이 없으면 false 리턴
String nextToken() 객체에서 다음 토큰을 반환
String nextToken(String delim) delim 기준으로 다음 토큰을 반환
boolean hasMoreElements() hasMoreTokens와 동일한대 엘레먼트보다 토큰으로 된 메서드를 주로 씀
Object nextElement() nextToekn 메서드와 동일하지만 문자열이 아닌 객체를 리턴
int  countTokens() 총 토큰의 개수를 리턴

자주 사용하는 메서드는 hasMoreTokens, countTokens 그리고 nextToken 정도 되겠습니다.

 

StringTokenizer와 Split 차이?

둘 다 모두 문자열 파싱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tringTokenizer는 java.util에 포함되어 있는 클래스, split는 String클래스에 속해있는 메소드이다.

■ StringTokenizer는 문자 또는 문자열로 문자열을 구분한다면, split는 정규표현식으로 구분합니다. 

■ StringTokenizer는 빈 문자열을 토큰으로 인식하지 않지만 split는 빈 문자열을 토큰으로 인식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 Stringtokenizer는 결과값이 문자열이라면 split는 결과 값이 문자열 배열입니다. 따라서 StringTokenizer를 이용할 경우, 전체 토큰을 보고 싶다면 반복문을 이용해서 하나하나 뽑을 수 밖에 없어요.

■ 배열에 담아 반환하는 Split는 데이터를 바로바로 잘라서 반환해주는 StringTokenizer보다 성능이 약간 뒤쳐지겠죠? 그러나 데이터양이 많은 경우 거기서 거기기 때문에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습니다.

문자열을 다루를 대표적인 클래스 String, StringBuffer, StringBuilder 차이점

연산이 많지 않을때는 위에 나열된 어떤 클래스를 사용하더라도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러나 연산횟수가 많아지거나 멀티쓰레드, Race condition 등의 상황이 자주 발생 한다면 각 클래스의 특징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클래스를 사용해야 한다.
 

String  vs  StringBuffer/StringBuilder

 
String과 StringBuffer/StringBuilder 클래스의 가장 큰 차이점은 String은 불변(immutable)의 속성을 갖는다는 점입니다.
String str = "hello";   // String str = new String("hello");
str = str + " world";  // [ hello world ]
직관적이어서 가장 많이 사용할 듯한 위의 예제에서 "hello" 값을 가지고 있던 String 클래스의 참조변수 str이 가리키는 곳에 저장된 "hello"에 "world" 문자열을 더해 "hello world"로 변경한 것으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에 "hello" 값이 들어가있던 String 클래스의 참조변수 str이 "hello world"라는 값을 가지고 있는 새로운 메모리영역을 가리키게 변경되고 처음 선언했던 "hello"로 값이 할당되어 있던 메모리 영역은 Garbage로 남아있다가 GC(garbage collection)에 의해 사라지게 되는 것 입니다. String 클래스는 불변하기 때문에 문자열을 수정하는 시점에 새로운 String 인스턴스가 생성된 것이지요.
위와 같이 String은 불변성을 가지기 때문에 변하지 않는 문자열을 자주 읽어들이는 경우 String을 사용해 주시면 좋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자열 추가,수정,삭제 등의 연산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알고리즘에 String 클래스를 사용하면 힙 메모리(Heap)에 많은 임시 가비지(Garbage)가 생성되어 힙메모리가 부족으로 어플리케이션 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연산에 내부적으로 char배열을 사용함)
이를 해결하기 위해 Java에서는 가변(mutable)성을 가지는 StringBuffer / StringBuilder 클래스를 도입했습니다.
String 과는 반대로 StringBuffer/StringBuilder 는 가변성 가지기 때문에 .append() .delete() 등의 API를 이용하여 동일 객체내에서 문자열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문자열의 추가,수정,삭제가 빈번하게 발생할 경우라면 String 클래스가 아닌 StringBuffer/StringBuilder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StringBuffer sb= new StringBuffer("hello");
sb.append(" world");

| StringBuffer  vs  StringBuilder

 

그렇다면 동일한 API를 가지고 있는 StringBuffer, StringBuilder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가장 큰 차이점은 동기화의 유무로써 StringBuffer는 동기화 키워드를 지원하여 멀티쓰레드 환경에서 안전하다는 점(thread-safe) 입니다.  참고로 String 불변성을 가지기때문에 마찬가지로  멀티쓰레드 환경에서의 안정성(thread-safe)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대로 StringBuilder는 동기화를 지원하지 않기때문에 멀티쓰레드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지만 동기화를 고려하지 않는 만큼 단일쓰레드에서의 성능은 StringBuffer 보다 뛰어납니다.
 

| 정리

 
마지막으로 각 클래스별 특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컴파일러에서 분석 할때 최적화에 따라 다른 성능이 나올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경우에 맞게 사용하시면 될 것 같네요.
 
String                :  문자열 연산이 적고 멀티쓰레드 환경일 경우
StringBuffer     :  문자열 연산이 많고 멀티쓰레드 환경일 경우
StringBuilder   :  문자열 연산이 많고 단일쓰레드이거나 동기화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String, StringBuffer, StringBuilder 비교

* StringBuffer와 StringBuilder는 성능으로 따졌을 때 2배의 속도차이가 있다고 하지만 참고사이트의 속도 차이 실험 결과 append()연산이 약 1억6천만번 일어날 때 약 2.6초의 속도차이를 보인다고 합니다.

(String은 +연산이 16만번이상 넘어가게 되면 10초이상 걸리면서 못 쓸정도의 성능을 보입니다.)

따라서 문자열연산이 많지만 엄청나게 일어나지 않는 환경이라면 StringBuffer를 사용해서 thread-safe한 것이 좋다는 생각입니다.

* JDK1.5이상부터 String에서 +연산으로 작성하더라도 StringBuilder로 컴파일하게 만들어 놨다지만 여전히 String클래스의 객체 생성하는 부분을 동일하므로 StringBuffer,StringBuilder 사용이 필요함.

+ StringBuffer, StringBuilder의 경우 buffer size를 초기에 설정해야하는데 이런 생성, 확장 오버로드가 걸려 버퍼사이즈를 잘못 초기화할 경우 성능이 좋지 않을 수 있음.

+ String클래스가 컴파일러분석단계에서 최적화될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간혹 성능이 잘나오는 경우도 있음. 문자열 연산이 많지 않은 경우는 그냥 사용해도 무방.

 


소수 구하는 방법처럼 제곱근까지만 for문을 돌렸다.

소인수분해로 나누어지는 정수는 2부터 시작이고 2가 제일 작은 숫자기때문에

주어진 숫자는 제곱근 숫자 이하의 인수 개수만 가지기 때문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 (int i = 2; i <= Math.sqrt(N); i++) {
			while (N % i == 0) {
				System.out.println(i);
				N /= i;
			}
		}

		if (N != 1)
			System.out.println(N);
	}
}

 

https://www.acmicpc.net/problem/2581


소수 구하는 다른 방법인 에라토스테네스 방법도 공부해야 할듯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Collections;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M;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 = Integer.parseInt(br.readLine());

		ArrayList<Integer> al = new ArrayList<Integer>();
		int sum = 0;

		for (int i = N; i <= M; i++) {
			boolean flag = true;

			if(i == 1)
				continue;
			
			for (int j = 2; j <= Math.sqrt(i); j++) {

				if (i % j == 0) {
					flag = false;
					break;
				}
			}

			if (flag) {
				
				sum += i;
				al.add(i);
			}
		}
		
		Collections.sort(al);
		
		if(al.isEmpty()) {
			System.out.println("-1");
		}
		else {
			System.out.println(sum);
			System.out.println(al.remove(0));
		}

	}

}

+ Recent posts